Q1. 수도권 광역지표를 누가, 언제 만들었나요?
2020년부터~2021년까지 2개년간 경인지방통계청이 정책연구용역사업으로 (사)한국삶의질학회 등과 함께 지표 체계를 만들고, 2022년에 최종 지표를 선정하여 시계열자료(2001년~현재)로 DB를 구축하였습니다.
Q2. 광역지표 작성 배경이 무엇인가요?
지방자치 확립으로 지역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특정 지역 단위에서만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또한, 수도권에서 경제활동 등 다양한 기능 간의 상호의존도가 높아져서 도시로부터 인접도시들이 연결된 광역(Megapolis)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경쟁의 단위가 국가 단위 경쟁도 중요하지만 메가폴리스 단위 경쟁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광역의 의미와 중요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광역단위 지표 체계를 만들고 작성하는 것은 광역 단위에서 경쟁력을 높이고 광역발전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는 동시에 광역 주민들의 생활을 보다 편리하고 만족도 높게 만들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입니다.
Q3. 수도권 광역지표와 KOSIS에서 제공하는 「e-지방지표」와 다른 점은 무엇인가요?
e-지방지표는 행정구역단위인 시도, 시군구 단위 지표이며, 수도권 광역지표는 행정단위를 너머 서울, 경기, 인천을 모두 아우르는 광역 권역에 관한 지표입니다.
Q4. 지표는 모두 승인통계에서 나온 수치인가요?
해외출처는 OECD 등 국제기구에서, 국내 출처는 KOSIS 등 가급적 승인통계를 사용하였으나, 승인통계가 없는 경우 공공기관의 보고서나 웹사이트에서 자료를 이용한 경우도 있습니다.(예. 지방재정, 공공기관 종합청렴도평가 등)
Q5. 대부분 통계는 시도 단위로 공표되어, 광역권 단위로는 재집계해야 하는데 어떤 방법을 사용하였나요?
단순합계로 계산하면 안되는 지표는 마이크로데이터를 이용하여 재집계하였습니다. 마이크로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불가피하게 가중평균 등의 방법으로 작성하였고, 지표마다 그 산출 방법은 <발간(참고)자료> 메뉴에서 「2022 수도권 광역지표 분석 보고서」와 해당지표에서 「지표정의」란에 명시하였습니다.
Q6. 경쟁력지표는 수도권을 타 광역권과 비교했는데, 광역권 구성 기준은 무엇인가요?
광역권역 분류는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년)」, 산업연구원의 「광역경제권 분류 기준」에 따라 5+2권역(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대경권, 동남권 / 강원권, 제주권)으로 나누었습니다.
Q7. 자료 업데이트는 정기적으로 이뤄지나요?
정기적으로는 매년 업데이트 하되, 가급적 공표시기에 맞춰 최신 자료로 갱신할 예정입니다. 해당지표에서 「지표정의」란에 데이터 갱신이력을 남겼습니다.

플랫폼 개발 매뉴얼


SDG 데이터 플랫폼 개발을 원한다면 아래의 링크를 통해 자세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한국, 영국, 미국 등 Open SDG 기반 플랫폼 소스는 누구나 활용할 수 있습니다.
* Wiki [바로가기]
→ 개발 단계별 설명, 기술적 요구사항, 기본 프로그램 설치 방법 등
* Open SDG [바로가기]
→ 플랫폼 개발 용어, 특정 기능 사용법(코드), Open SDG 활용 사례 등